* 주제: 실존주의적 비신화화를 통한 신약 신학
* 특징: 불트만의 비신화화 이론을 중심으로 신약의 신학적 핵심을 재구성
서문
- 루돌프 불트만의 신학적 여정
- 비신화화 논쟁의 시대적 배경
- 신약신학과 현대인의 거리
제1장. 신약 신학과 비신화화의 도전
1. 신약성경의 신화적 구조
- 신화란 무엇인가
- 고대 세계의 세계관과 인간 이해
- 기적, 악령, 부활 등 초자연적 요소들
2. 현대 세계관과의 충돌
- 과학적 합리성의 대두
- 자연주의적 인간 이해의 확대
- 신화에 대한 현대인의 불신
3. 비신화화란 무엇인가
- 비신화화 개념의 오해와 올바른 이해
- ‘제거’가 아닌 ‘해석’으로서의 비신화화
- 실존적 의미로의 전환이란 무엇인가
4. 실존주의와 해석학의 기반
- 하이데거의 실존 개념 요약
- 인간 실존과 하나님의 말씀의 만남
- 언어와 사건 사이의 해석학적 지평
제2장. 역사적 예수와 케리그마의 관계
1. 역사적 예수 연구의 진전과 한계
- 제1, 제2, 제3 탐구의 역사 개관
- 자료의 불완전성과 신앙의 개입
- ‘있었던 그대로의 예수’에 대한 환상
2. 초기 교회와 케리그마의 형성
- 부활 사건의 공동체적 경험
- 선포의 신학적 구조와 내용
- 예수에서 그리스도로: 신앙의 전환
3. 불트만의 입장 정리
- “예수에 관하여”가 아닌 “그리스도 안에서”
- 역사와 신앙의 구분과 연결
- 믿음의 결정으로서의 케리그마
4. 실존적 해석으로서의 복음
- 예수의 메시지를 현대인이 만나는 방식
- 종말론적 요청으로서의 회개와 믿음
- 신앙이란 응답인가, 인식인가?
제3장. 복음서의 실존적 메시지
1. 공관복음서와 신화적 서사
- 하나님 나라의 도래와 종말론
- 기적 이야기의 상징성
- 인간 존재의 위기와 자유
2. 요한복음의 실존적 언어
- 로고스 개념과 인간 실존
- ‘영생’의 현재적 의미
- 빛과 어둠, 진리와 심판의 내면화
3. 십자가의 신학: 고난과 죽음
- 십자가는 실존의 거울인가
- 고난의 구속적 의미 vs 실존의 요청
- ‘죽음에 이르는 믿음’의 의미
4. 비신화화 적용 사례
- 기적 사건의 해석
- 부활 이야기의 실존적 독해
- 오늘날 독자가 복음서를 만나는 방식
제4장. 바울 서신의 실존적 신학
1. 바울의 케리그마 핵심: 십자가와 부활
- 십자가의 도, 유대인과 헬라인의 걸림돌
- 부활은 사건인가 선포인가
- ‘그리스도 안에’의 실존적 구조
2. 율법과 은혜의 변증법
- 인간의 한계와 죄의 실존적 이해
- 율법과 자기이해: 실패와 절망
- 은혜의 자유와 책임
3. 새로운 존재로의 부름
- 세 사람, 새로운 피조물
- 공동체적 존재와 개인의 응답
- 성령과 실존적 해방
4. 바울 신학의 현대적 통찰
- 구조 속 인간이 아닌, 존재로서의 인간
- 자유, 책임, 자기결정
- 실존으로 살아내는 복음
제5장. 신앙의 본질과 현대적 적용
1. 신앙은 무엇인가? 경험인가 결단인가
- 감정, 이성, 의지의 통합
- 신앙과 실존의 만남
- 하나님의 말씀과 자기 자신에 대한 진실함
2. 하이데거와 불트만: 실존과 계시
- ‘죽음을 향한 존재’로서의 인간
- 하나님의 말씀은 ‘무엇을 말하는가’보다 ‘누구에게 오는가’
- 자기 자신이 된다는 것의 신학적 의미
3. 교회와 공동체의 새로운 이해
- 제도적 교회 vs 실존 공동체
- 예배, 설교, 성례전의 실존적 구조
-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을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4. 신화적 신앙에서 실존적 신앙으로
- 기독교 신앙의 재정의
- 실존주의 신학의 가능성과 한계
- 오늘날 신자에게 필요한 신앙의 갱신
결론
- 불트만 신학의 기여: 신약을 해석하는 새로운 길
- 한계와 비판적 검토: 역사 포기인가, 인간 중심주의인가
- 지속되는 질문들: 오늘날 신앙의 의미는 무엇인가
- 신학적 대화의 장으로서 이 책의 위치
'관점있는 신약 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속사의 흐름 - 한스 콘첼만 관점의 신약 신학 (1) | 2025.04.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