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쓰기195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받으사 vs 본디오 빌라도의 통치하에 고난받으사 사도신경 라틴어 원문 Credo in Deum Patrem omnipotentem, Creatorem caeli et terrae, 전능하신 아버지 하나님, 하늘과 땅의 창조주를 믿습니다, et in Iesum Christum, Filium eius unicum, Dominum nostrum, 그리고 그의 독생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qui conceptus est de Spiritu Sancto, natus ex Maria Virgine, 성령으로 잉태되어 마리아에게서 태어나셨습니다, passus sub Pontio Pilato, crucifixus, mortuus, et sepultus, 본디오 빌라도 밑에서 고난을 받으시고,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시고, 묻히셨습니다, descendi.. 2024. 5. 9.
헤롯 왕조 헤롯 왕조 개요 헤롯 왕조는 기원전 37년 헤롯 대왕이 왕위에 오르면서 시작되어, 약 1세기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헤롯 왕조은 여러 대를 걸쳐 유대 지역을 통치하면서 각기 다른 정치적, 사회적, 종교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헤롯 왕조의 통치가 다른 많은 왕조들처럼 일시적인 권력이었다는 관점에서 보면, 그들의 통치는 한 시대를 풍미했으나 결국 로마 제국의 보다 직접적인 통제 하에 들어가는 과정에서 종말을 고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들의 통치 기간 동안 이루어진 여러 업적과 행적들은 단순한 일시적 권력의 표현을 넘어섭니다. 헤롯 대왕의 건축 프로젝트, 예루살렘 성전의 재건 같은 사건들은 유대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종교적, 문화적 상징으로서 오늘날까지도 그 중요성이 회자됩니다. 또한, .. 2024. 5. 8.
사마리아 오경(Samaritan Pentateuch) 사마리아 오경은 모세 오경의 사마리아인 버전으로, 구약의 처음 다섯 권(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을 포함합니다. 이 문서는 유대인이 사용하는 히브리 성서와 다르게, 사마리아인들의 종교적 전통과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대인들이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으로 예배를 드린 반면, 사마리아인들은 그리심 산에서 그들만의 성전에서 예배를 드렸습니다.사마리아 오경의 내용은 유대인 성서와 비교했을 때 소소한 차이가 있으나, 이 작은 차이가 큰 신학적 대립의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사마리아 오경은 출애굽기 20:17 후에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그리심 산에 성전을 짓고, 그곳에서 하나님에게 제사를 드릴 것을 명령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 2024. 5. 7.
유대교 사두개파(Sadducees) 유대교 사두개파(Sadducees) 개요 사두개파는 고대 유대교의 한 종파로, 주로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1세기에 걸쳐 활동했습니다. 이들은 당시 사회적, 종교적 엘리트 계층인 제사장 출신들이 주축이 되어 형성된 그룹이었습니다. 사두개파의 주요 특징은 유대교의 구전 율법을 거부하고 오직 토라(모세오경)만을 유일한 종교적 권위로 인정했다는 점입니다. 그들은 부활이나 천사와 같은 초자연적 존재들의 존재를 부정했으며, 이는 당시 다른 주요 유대교 종파였던 바리새파와 근본적으로 대립하는 요소였습니다. 정치적으로 사두개파는 로마 제국과 협력하는 경향이 있었고, 이 때문에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는 그다지 인기가 없었습니다. 그들의 영향력은 로마에 의한 예루살렘 성전의 파괴(70년) 이후 급격히 감소했으며, 결국 .. 2024. 5. 7.
복음서 4권(마태, 마가, 누가, 요한)의 내용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이 더 믿음직하다 중대한 사건이 발생할 경우 목격자들은 조금씩 다른 상황 인식을 할 수 있는가?중대한 사건이 발생할 경우, 목격자들은 각기 다른 상황 인식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는데, 주요 이유로는 개인의 경험, 기억의 차이, 주의 집중의 차이, 인지적 편향 등이 있습니다. 1.경험과 배경의 차이: 개인의 이전 경험과 문화적, 사회적 배경이 상황을 해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같은 사건을 목격해도, 그 사건을 해석하고 기억하는 방식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2.기억의 왜곡: 사람들은 사건을 관찰하고 기억할 때 오류를 범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억이 변형되거나 왜곡될 수 있습니다. 즉, 각 사람의 기억은 완벽하지 않고, 사건을 경험하는 동안의 감정 상태나 주.. 2024. 4. 29.
창세기라 부르면, 출애굽기라 부르면 프레임에 갇힐 수 있다 유대인은 모세오경을 각각 어떻게 부르는가 유대인은 모세오경, 즉 토라의 다섯 권을 히브리어 원래의 이름으로 부릅니다. 이들 각각의 이름은 해당 책의 히브리어 본문에서 첫 단어나 첫 구절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여기에 다시 그 이름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창세기: 히브리어로 '베레시트 (Bereshit)'라고 하며, 이는 "태초에"라는 의미입니다. 이 이름은 창세기의 첫 문장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2.출애굽기: 히브리어로 '셰모트 (Shemot)'라고 하며, "이름들"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출애굽기의 첫 구절 "이것들은 애굽 땅으로 간 야곱의 자손들의 이름들이다"에서 유래했습니다. 3.레위기: 히브리어로 '바이크라 (Vayikra)'라고 하며, "그가 불렀다"라는.. 2024. 4.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