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 구속사적 관점에서 본 신약 신학
* 특징: 콘첼만의 역사적 분석과 구속사적 틀을 활용해 신약의 시간적 구조를 조명
서문
- 이 책의 목적과 구성
- 한스 콘첼만의 신학적 접근과 구속사
- 현대 신학에서 구속사의 의미
제1장. 구속사 신학의 기초
1. 구속사란 무엇인가
- 성경적 역사관과 하나님의 계획
-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
- 시간과 종말의 신학적 의미
2. 콘첼만의 접근법
- 역사적 비평과 신학의 통합
- 누가 신학의 구속사적 구조
- 신약 문헌의 통일성과 다양성
3. 현대적 도전
- 세속화된 역사 이해와의 긴장
- 구속사의 보편성과 특수성
- 신앙과 역사의 관계 재정의
제2장.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구속사
1. 예수의 사역: 하나님 나라의 시작
- 세례와 공생애의 신학적 위치
-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과 미래성
- 예수의 죽음과 부활의 전환점
2. 교회 시대의 전개
- 성령의 강림과 교회의 탄생
- 사도행전의 선교와 공동체 형성
- 유대교에서 세계로의 확장
3. 종말로의 여정
- 누가의 종말론적 기대
- 하나님의 계획 완성의 상징성
- 현대 교회에 대한 질문
제3장. 공관복음서의 구속사적 연속성
1. 마태복음: 언약과 율법의 완성
- 구약 예언의 성취
- 교회 공동체의 규범과 사명
- 종말론적 심판과 희망
2. 마가복음: 십자가로의 길
- 메시아의 고난과 제자도
- 하나님 나라의 역설적 도래
- 시간 속의 하나님의 침묵
3. 공관복음서의 통합적 메시지
- 하나님 나라의 이미와 아직
- 역사적 예수와 교회의 역할
- 콘첼만의 삼단계 구분(예수-교회-종말)
제4장. 바울 서신과 구속사의 확장
1. 바울의 구속사적 세계관
- 아담에서 그리스도까지
- 율법, 은혜, 새 언약의 전개
- 이방인의 포함과 이스라엘의 미래
2. 교회의 구속사적 위치
-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
- 성령의 사역과 공동체의 성장
- 종말을 향한 순례의 삶
3.현대적 통찰
- 바울의 보편적 구원관
- 교회의 역사적 책임
- 구속사와 윤리적 삶의 연결
제5장. 구속사 신학의 현대적 적용
1. 교회와 구속사의 연속성
- 역사 속 교회의 정체성
- 예배와 선교의 구속사적 뿌리
- 공동체의 희망과 저항
2. 현대 사회와 구속사의 질문
- 정의, 평화, 화해의 신학적 기반
- 세속적 시간과 신학적 시간의 만남
- 고난과 구원의 역사적 의미
3. 콘첼만 신학의 기여와 한계
- 구속사의 통합적 비전
- 역사적 비평의 강점과 제약
- 실존주의(불트만)와의 비교
결론
- 콘첼만의 구속사 신학: 신약의 역사적 흐름
- 신앙의 현대적 자리: 하나님의 시간 속에서
- 지속되는 질문: 구속사는 오늘 무엇을 말하는가
'관점있는 신약 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적 예수와 신앙의 그리스도 – 루돌프 불트만 관점의 신약 신학 (1) | 2025.04.07 |
---|